암실

포토 캠페인 (Photo Campaign)

Noctvision 2024. 12. 30. 10:10
반응형
SMALL

다큐멘터리 사진과 포토 캠페인

  • 전쟁 후 다큐멘터리 사진의 발전: 전쟁이 끝난 후 다큐멘터리 사진은 서부 개척지와 일상적인 사회생활을 주제로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포토 캠페인은 사회적 문제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개혁을 촉진하려는 운동으로, 당시 이민 가족과 노동 문제에 주목했습니다.
  • 대표 인물: 자곱 리스(Jacob Riis)와 루이스 하인(Lewis W. Hine)은 포토 캠페인의 주요 인물로, 사진을 통해 사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Home of an Italian Ragpicker" (1888), by Jacob Riis

자곱 리스 (Jacob Riis) - 빈민가의 현실 고발

  • 배경과 활동: 덴마크 출신의 리스는 뉴욕에서 슬럼 생활을 경험한 후, 사회개혁을 위해 사진을 사용한 최초의 인물로 알려졌습니다. 빈민가의 열악한 환경을 담아낸 그의 사진은 주거 개선과 아동 노동 금지 등의 법률 제정에 기여했습니다.
  • 작품과 영향: 1890년 <또다른 절반의 삶은 어떠한가 How the Other Half Lives>를 출간하며 슬럼가의 실상을 폭로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국 사회의 복지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리스의 사진에는 비참한 생활을 현실적으로 담아내어 여론에 불을 붙였으며, 사회적 변화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루이스 하인 (Lewis W. Hine) - 아동 노동의 실상 기록

"Girl worker in Carolina cotton mill" (1908),   by Lewis Hine

 

  • 배경과 활동: 하인은 시카고 대학 출신으로 윤리문화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처음 카메라를 사용했습니다. 이후 엘리스 섬에 도착한 이민자와 노동자들의 어려움을 촬영하였고, 아동 노동 조사위원회에서 아동 노동 실태를 기록하며 아동 노동법 제정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촬영 대상과 방법: 하인은 면방직공장, 탄광, 농장 등의 아동 노동자를 찍었으며, 위험하고 열악한 노동 환경을 폭로했습니다. 그는 대형 카메라를 사용하여 주관적인 시각으로 노동 착취를 비판했으며, 종종 고용주로부터 방해를 받기도 했습니다.
  • 대표 작품: 1932년 발행된 <일하는 사람들 Men at Work>에는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건설 현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노동자들의 현실을 기록하여 사회적 주목을 받았습니다.

사회 개혁에의 공헌

  • 공헌과 의의: 자곱 리스와 루이스 하인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다큐멘터리 사진을 통해 미국 사회의 현실을 고발했습니다. 이들은 사진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알리고 대중의 인식을 고취시켜, 소외 계층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