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실
그래프 저널리즘(Graph-Journalis) 시대
Noctvision
2025. 1. 20. 10:10
반응형
SMALL
미디어와 시각매체의 중요성
- 시각매체의 역할: 신문, TV, 영화 등 다양한 매체 중 사진은 세계의 사건, 문화, 예술 등을 전달하는 중요한 시각적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1930년대부터 현대인은 정보를 "읽는 것"보다는 "보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서 사진을 통한 그래프 저널리즘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인쇄술과 복제술의 발전: 1897년 스테픈 헨리 호간의 하프톤 제판술로 사진 인쇄가 가능해졌고, 1928년에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사진신문과 화보잡지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의 <라이프(Life)>와 <루크(Look)> 등의 창간으로 이어져 그래프 저널리즘 시대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그래프 저널리즘의 발전과 편집 방식
- 편집자와 사진기자의 역할: 그래프 저널리즘 잡지들은 주제를 선정하여 사진가와의 공동작업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편집자는 주제에 맞는 사진을 선택해 레이아웃과 캡션을 정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 반발한 사진가들은 독창성을 인정받고자 매그넘(Magnum) 같은 사진유통 체계를 형성했습니다.
「라이프(Life)」 잡지
- 창간과 영향력: 1936년 창간된 <라이프>는 당시 미국의 경제 불황과 전쟁 불안 속에서 대중들의 위기 의식과 시각적 정보에 대한 갈증을 충족시켰습니다. 사진을 통해 세계 곳곳의 사건을 보도하는 방향을 추구했으며, 대규모 발행부수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 유진 스미드(W. Eugene Smith): <라이프>의 대표 사진가로, 그의 사진은 포토 스토리 형식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는 여러 사진을 엮어 하나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형식을 사용했으며, 사회적 비판보다는 인간적인 면모와 애정을 담아냈습니다. <라이프>와 갈등 끝에 프리랜서로 전향하였으며, 이후 잡지는 1972년 재정 문제로 폐간되었습니다.
「루크(Look)」 잡지
- 창간과 대중성: 1937년 창간된 <루크>는 처음 월간으로 시작해 후에 격주간으로 전환되었으며, 감동을 주는 인기 기사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전쟁 후에는 홈 매거진으로 방향을 바꾸어 독자들의 관심을 회복하였습니다. 하지만 1972년 <라이프>와 마찬가지로 재정 문제로 인해 폐간되었습니다.
그래프 저널리즘의 시대
- 그래프 저널리즘의 확산: <라이프>와 <루크>의 성공에 따라 다양한 사진잡지가 창간되어, 한때 그래프 저널리즘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시기는 시각적 소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수많은 사진잡지가 창간되는 사진 저널리즘의 황금기였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