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 현상을 위한 약품 -1
흑백 필름 현상에 필요한 약품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현상액(Developer), 중간정지액(Stop Bath), 그리고 정착액(Fixer). 이 외에도 수세 촉진제와 필름을 말리기 전에 사용하는 수적 방지제 같은 보조 약품들이 있습니다. 각 약품은 필름 현상의 단계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며, 아래에서 각각의 약품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현상액(Film Developer)
현상액은 필름에 노출된 빛에 의해 형성된 잠상을 가시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빛에 의해 변형된 은 입자를 금속성의 검은 은염으로 변화시킵니다. 다양한 상표와 종류의 현상액이 있으며, 각 현상액은 입자 크기, 콘트라스트, 디테일 표현력 등에서 다른 특성을 지닙니다.
주요 현상액 종류 및 특성
• D-76 (KODAK): 매우 보편적인 분말 형태의 현상액으로, 적정 콘트라스트와 고운 입자를 재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1:1로 희석할 경우 선예도가 증가합니다.
• DK-50 (KODAK): 보존성이 뛰어나며, 원액으로 사용하거나 1:1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ICRODOL-X (KODAK): 매우 고운 입자를 재현하는 현상액으로, 원액을 사용할 경우 특히 뛰어난 입자 재현이 가능합니다. 1:3 희석 시 선명도가 우수합니다.
• D-19 (KODAK): 짧은 시간 내에 현상이 가능하며, 높은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는 대용량 현상액으로 전문 기술 작업에 적합합니다.
• T-MAX (KODAK): 섀도우 디테일이 뛰어나며 고감도 필름 현상에 적합한 액체 형태의 현상액입니다. 1:4로 희석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MAX RS (KODAK): 보충 시스템에 적합한 액체형 현상액으로, 뛰어난 톤 재생력과 입상성을 자랑합니다.
• Technidol Liquid (KODAK): 초미립자 흑백 필름인 Technical pan film 전용 현상액으로, 매우 높은 해상력을 제공합니다.
• Microphen (ILFORD): 고감도 필름 현상에 적합한 미립자 흑백 현상액입니다.
• ID-11 (ILFORD): ILFORD의 스탠다드 현상제로, 감광도 손실 없이 미립자를 재현하는 현상액입니다.
• Perceptol (ILFORD): 최고의 선예도와 입상성을 보장하는 초미립자 현상액으로, 계조 재현에 적합합니다.
• ILFOSOL S (ILFORD): 사용이 편리한 One-shot 현상액으로, 희석 후 재사용할 수 없는 미립자 현상액입니다.
• PQ-Universal (ILFORD): 액체 농축형 현상약품으로, 필름과 인화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작업에 적합합니다.
2. 중간정지액(Stop Bath)
현상 과정에서 현상액의 작용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약품입니다. 중간정지액은 현상 과정에서 필름이 과도하게 현상되지 않도록 해 주며, 이는 현상과 정착 사이의 중요한 단계입니다. 대체로 희석된 아세트산 용액이 사용되며, 인화 작업에서도 동일한 중간정지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정착액(Fixer)
정착액은 현상 과정에서 나타난 은 입자들 중 빛에 반응하지 않은 은염을 제거하여 필름의 화상을 고정시킵니다. 정착이 완료되면 필름은 빛에 더 이상 노출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으며, 보관이 가능해집니다. 정착액은 현상 후 필름을 안정화하는 매우 중요한 약품으로, 흑백 인화 작업에서도 동일한 정착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수세 촉진제(Hypo Clearing Agent)
정착이 끝난 후, 필름을 씻어내는 과정에서 물이 필름 속에 남아있는 화학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약품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수세 시간을 줄이고, 필름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화학 물질의 잔여물을 더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수적 방지제(Wetting Agent)
필름을 수세한 후, 필름에 남아 있는 물방울이 자국을 남기지 않도록 돕는 약품입니다. 필름을 건조시키기 전에 사용하면 필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물이 빠르게 증발하도록 도와, 필름에 자국이 남지 않게 합니다.
위의 약품들은 필름 현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단계에서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약품의 보관은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필름 현상 시 각 약품의 사용법과 희석 비율, 온도와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셀프스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41 Color Negative Film Processing (3) | 2024.10.15 |
---|---|
칼라 슬라이드 현상 (1) | 2024.10.15 |
B/W FILM 의 현상 II (필름현상의 절차) (0) | 2024.10.15 |
흑백필름의 현상 I - 필름감기 (Film Developing I) (0) | 2024.10.15 |
필름현상을 위한 약품 II (중간정지액, 정착액, 기타) (1) | 2024.10.15 |